“식단은 바뀔 수 있을까?” – 효과적인 지속가능 식품 정책의 조건

지속가능한 소비

“식단은 바뀔 수 있을까?” – 효과적인 지속가능 식품 정책의 조건

OECD 보고서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식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요측 정책과 공급측 정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단일한 정책 수단보다는 복합적인 정책 조합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정보제공, 가격 인센티브, 교육, 세제 혜택, 규제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물성 단백질의 가격을 인하하면서 동시에 건강상의 이점을 강조하는 정보캠페인을 병행하면, 소비자들이 식물성 식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진다. 이러한 조합은 특히 건강이나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에게 효과적이다.

반면, 단독으로 시행되는 세금 정책은 대체로 낮은 수용도를 보였으며, 응답자의 60% 이상이 고기 및 해산물에 부과되는 환경세에 반대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세금과 인센티브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은 수용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히 정보 기반 정책이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지만, 실제 행동 변화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단순히 식품 라벨이나 인증 마크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이러한 정보가 소비자 인식과 가격·맛·접근성과 같은 요소들과 경쟁하게 될 경우 실질적 변화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는 환경에 대한 태도뿐만 아니라 소득, 교육 수준, 연령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젊은층이나 고학력층은 새로운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 교육과 정보 제공 중심의 정책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고령층이나 저소득층은 가격 및 접근성을 개선하는 인센티브 정책이 보다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결국 지속가능한 식품 소비로의 전환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에 맡겨둘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정부는 복합적이고 세분화된 정책 설계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을 유도하고, 동시에 지속가능한 식품 생산과 유통 구조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는 점이 보고서를 통해 확인되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Back To Top
제호: 더푸른미래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경기,아52808 / 우)10896 / 주소:경기도 파주시 경의로 1224,3층 321호(와동동) / 발행/편집인 최창호 / 전화:070-4792-7720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현주 / 등록-발행일:2015년 01월 19일 / 모든 콘텐츠 저작권은 저작권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제 및 복사 재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더푸른미래.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