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녹색산업과 기술

  •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유전자 교정 기술, 특히 CRISPR-Cas9은 2010년대 후반부터 생명과학의 신기원을 연 기술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여전히 가장 큰 한계점 중 하나는 ‘치명적 오교정(Mis-editing)’이다. 비표적 영역을 잘못 편집하거나, DNA 절단 후 이어붙이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다.

    이에 KAIST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공동연구팀은 정면돌파 전략을 택했다. 바로 ‘세포를 굶기는’ 것이다. 세포에 에너지 결핍 상태를 유도하면 일종의 생존 전략으로 자가포식이 활성화된다. 이 때 세포는 손상된 구성 요소를 제거하고, 유전자 손상 역시 더 정교하게 복구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 기술적 배경: DNA 복구 경로와 정밀편집

    CRISPR-Cas9은 DNA의 특정 부위를 자르고, 이후 세포 자체의 DNA 복구 메커니즘에 의해 잘린 부위를 복구하면서 유전자 교정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세포의 복구 경로는 크게 두 가지다:

    1. 비상동 말단 연결(NHEJ): 빠르긴 하지만 부정확.
    2. 상동 재조합(HDR): 느리지만 정확한 복구 가능.

    연구진은 세포에 단기적인 영양 결핍을 유도해 자가포식을 일으킨 결과, HDR 빈도가 NHEJ에 비해 눈에 띄게 증가했음을 발견했다. 이는 세포가 DNA 복구시 보다 정확한 경로를 선택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유전자 교정 기술의 ‘정밀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 연구의 의의: 유전자 치료의 안전성 강화

    이번 기술은 특히 질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편집에서 활용도가 높다. 예를 들어, 유전적 결함을 수정하기 위한 치료 유전자 삽입 과정 등에서 잘못된 편집이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지난 수년간 일부 유전자 치료 사례에서 예기치 못한 오작동이 보고되기도 했다.

    자가포식 기반 정밀유도 기술은 이러한 위험요소를 크게 줄이며, 동시에 특정 조직 내에서만 효율적인 유전자 교정이 가능하도록 정제된 타깃 전략까지 실현 가능성을 열어준다.

    💡 전문가 분석 & 전망

    분자유전학자 박희정 교수(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는 “이번 성과는 단지 정확도 향상뿐 아니라, 유전자 교정의 시공간적 조절 가능성을 연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자가포식은 세포 스트레스 반응의 일종이기에, 만성적 자극이 오히려 세포 생존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다시 말해 ‘선택적으로’, ‘일시적으로’ 굶기는 기술적 절묘함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미다.

    🔎 향후 과제 및 응용 가능성

    – 암세포 표적 치료: SIRT1, mTOR과 같은 자가포식 제어 경로를 활용해 종양세포만 조준 가능성 존재
    – 근감소증 치료: 특정 유전자 회로를 교정해 근육의 재생 능력 조절 가능
    – 신경퇴행질환 협응 치료: 자가포식 촉진제를 통한 신경세포 회복 가능성

    또한, 이번 기술은 기존 유전자 가위 외에 합성생물학, 시냅스 조절 유전자(editome neurons), CAR-T세포 조작 등 다방면의 바이오 기술과 융합 가능성이 있다.

    📝 기자의 시선: “세포를 설득하다”

    과학은 더 강한 무기를 만드는 것뿐 아니라, 상대(이 경우 세포)의 행동 원리를 이해하고 그것을 ‘설득’하는 과정이다. 이번 연구는 세포에게 ‘더 정확하게 복구하라’는 주문을, 스스로의 생존전략을 통해 유도해낸 점에서 탁월하다. 유전자 치료의 미래는 칼처럼 자르되, 붓처럼 그리는 정교함을 요구하고 있으며, 한국 연구진이 그 초입에서 의미 있는 발자국을 남긴 셈이다.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은 미국과 중국의 주도 하에 급격히 팽창 중이다. 이번 성과가 글로벌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바이오 기술의 정교함과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발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 doi:10.xxxx/autophagy-enhanced-crispr-2024
    – 생명공학연구원 발표자료
    – KAIST 공식 보도자료

  • ‘중복상장설’ 삼성바이오에피스, 직원에 “상장 계획 없다” 약속

    ‘중복상장설’ 삼성바이오에피스, 직원에 “상장 계획 없다” 약속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회사였던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계열 분리를 추진 중인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 제기된 ‘중복상장설’에 대해 선을 그었다. 에피스 내부 직원들에게 “향후 독자적 상장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투자자들과 시장 전반의 우려를 해소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복잡하게 얽힌 ‘중복상장 루머’의 실체

    최근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분할 이후 에피스를 독자적으로 상장시켜 자금을 추가적으로 유치하려는 것 아니냐’는 루머가 일파만파 퍼졌다. 특히 과거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바이오젠 콜옵션 이슈 등으로 촉발된 ‘투자자 신뢰의 적신호’가 다시 고개를 들자, 에피스 측은 즉각적인 입장 정리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공식적인 사내 발표를 통해 “현재 상장 계획은 전혀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이번 사내 커뮤니케이션은 단순 루머 해소 차원을 넘어, 분할 이후에도 삼성의 바이오철학이 ‘투자자 신뢰’ 위에 기반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은근히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왜 중복상장이 논란인가?

    업계에서 중복상장이 민감한 이슈로 받아들여지는 배경에는 바로 투자자의 ‘지분 희석’ 우려가 있다. 새로운 회사가 상장되면 기존 주주에게는 물량 부담, 가치 희석, 오너십 혼동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발생한다. 따라서 오해가 노출된 구조에서는 시장 안정성을 해치는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삼성그룹이 과거 바이오젠 옵션 회계처리 논란으로 여론의 집중 포화를 받은 전적이 있는 만큼, 이번 ‘중복상장설 부인’은 그간 누적된 신뢰 이슈를 불식시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미래 성장 전략

    중복상장이 없다는 것이 앞으로의 전략이 소극적이란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자율적 경영 구조를 기반으로 실질적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현재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과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바이오시밀러(Biosimilar) 중심의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레드오션인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오리지널리티 기반 신약 개발까지 지평을 넓히려는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다음 행보로 ▲글로벌 유통 파트너 확대, ▲차세대 면역항암제 플랫폼 확보, ▲AI 기반 임상 최적화 등의 중점 전략이 거론된다.

    전문가 시각: “상장보다 중요한 건 ‘지속가능 경영’”

    국내 바이오 시장에서도 손꼽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최근 행보에 대해 산업분석가들은 한 목소리로 긍정적 평가를 내놓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애널리스트는 “상장은 기업 가치를 시장화하는 하나의 수단일 뿐, 좋은 기업이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건강경제 분야 전문가인 본 기자는 “상장보다 중요한 것은 명확한 비전과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실행력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상장 포기’를 선언한 것이 아닌, ‘신뢰 회복’이라는 본질에 주목한 게 핵심”이라며 고평가했다.

    중복상장설 차단은 ‘선택과 집중’의 신호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중복상장설 일축’은 시장과 내부 구성원에게 명확한 신호를 보낸다. 더 이상의 투자자와의 불필요한 갈등은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 그리고 그 모든 에너지를 제품 파이프라인 확보와 글로벌 사업 확대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 가능하다.

    바이오산업은 본질적으로 ‘신뢰산업’이다. 데이터, 품질, 투명성이라는 3박자를 모두 갖출 때만이 환자와 투자자, 나아가 글로벌 의료계에서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이번 발표로 제2의 도약 신호탄을 쏘았는지, 아니면 상황관리용 제스처에 그칠지는 향후 제품 상용화 및 매출 성장 지표에서 그 명암이 갈릴 것이다.

     

  • ‘탄광 시대’ 정점 찍었나…세계 석탄 수요, 2027년까지 정체 전망

    ‘탄광 시대’ 정점 찍었나…세계 석탄 수요, 2027년까지 정체 전망

    “기록 찍고 멈춘다?” – 석탄 수요, 재생에너지 확산에 눌려 정체 국면 진입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4년 12월 발표한 연례 보고서 『Coal 2024』를 통해, 2024년 전 세계 석탄 수요가 사상 최고치인 87억 7천만 톤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2027년까지는 이 수준에서 정체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전력 수요 증가를 어느 정도 상쇄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출처: IEA, 2024.12】.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석탄 수요의 약 3분의 2가 전력 생산 부문에서 발생하며, 그중 가장 큰 소비국인 중국의 전력 부문 변화가 세계 석탄 수급의 향방을 좌우하고 있다. 중국은 2024년에도 석탄 의존도를 유지하면서도,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 청정 에너지원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27년까지 석탄 수요가 정체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날씨 변화와 전력 수요 증가 속도에 따라 변동 가능성은 존재한다. IEA는 “2027년 중국의 석탄 수요가 예측 대비 1억 4천만 톤 이상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며, 이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기상 의존성에서 비롯된 불확실성이라고 밝혔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석탄 수요가 정점을 찍고 감소세에 접어든 상태다. 유럽연합은 강력한 정책 도입과 재생에너지 확대로 석탄 사용을 줄이고 있으며, 미국과 캐나다는 값싼 천연가스를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등 일부 신흥국에서는 산업 성장과 인구 증가로 전력 수요가 늘며 석탄 사용도 증가하는 추세다.

    보고서는 2024년 세계 석탄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구조적 변화가 본격화되며 2027년까지는 증가세가 멈출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 석탄 무역량은 2024년 기준 15억 5천만 톤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지만, 향후에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전용 석탄의 무역량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는 여전히 석탄 무역의 중심지다.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베트남 등이 최대 수입국이며, 인도네시아와 호주는 주요 수출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가격 면에서도 현재 석탄 가격은 2017~2019년 평균 대비 50% 이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IEA는 “세계 전력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청정 에너지 기술의 확산이 석탄 수요를 상쇄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향후 기후 정책과 산업 구조 변화의 속도가 석탄 수요 정체 이후의 방향을 결정지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전망은 ‘탄소 중립’이라는 전 세계적 흐름 속에서, 석탄이 점차 ‘전환 에너지’에서 ‘퇴장 에너지’로 넘어가는 분기점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 “전기차, 누구나 살 수 있어야 진짜 전환이다” – 가격 혁신 없이는 대중화 기대어려워

    “전기차, 누구나 살 수 있어야 진짜 전환이다” – 가격 혁신 없이는 대중화 기대어려워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전기차 판매는 약 1,700만 대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지만, 대중 시장 확산의 열쇠는 ‘더 저렴한 전기차’에 있다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의 소형·보급형 모델 판매가 급증하면서, 전기차 보급률 확대에 있어 가격이 갖는 영향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출처: IEA, 2024】.

    IEA는 “전기차는 총 소유비용(TCO) 측면에서는 이미 경쟁력이 있지만, 여전히 초기 구매 비용이 소비자 선택을 가르는 주요 변수”라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에서는 판매되는 전기차의 60% 이상이 기존 내연기관 차량보다 저렴해졌으며, 소형차 시장에서는 2024년 상반기 기준 거의 95%가 전기차였다. 이 같은 흐름은 배터리 가격 하락, 정책 지원, 시장 경쟁 심화의 복합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유럽과 미국의 전기차 시장은 여전히 중대형 SUV 중심으로 형성돼 있고, 평균 가격은 내연기관 차량 대비 최대 40% 이상 높다. 유럽연합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가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구매 가격”이었으며, 희망 구매 가격은 평균 2만 유로 수준으로 조사됐다.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가격 인하 전략으로 전기차 프리미엄이 2022년 50%에서 2023년 20%까지 떨어졌지만, 여전히 3만 달러 이하의 모델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인도와 베트남에서는 로컬 제조업체가 1만~1.5만 달러 이하의 소형 전기차를 출시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모습도 주목된다.

    문제는 전기차 시장의 ‘대형화’ 추세가 이 같은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2023년 전기차 판매의 60%가 SUV나 대형차종이었으며, 미국에서는 그 비율이 75%를 넘겼다. 이는 소비자 수요와 제조사 전략이 고급형 모델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급형 모델의 출시가 제한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중국 업체들의 시장 확대는 세계 전기차 가격을 끌어내리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BYD, 샤오펑 등 제조사는 빠르게 가격을 인하하며 경쟁 우위를 확보했고, 유럽과 미국 제조사들도 이에 대응해 현지 생산 확대와 보급형 모델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유럽연합의 탄소배출 규제가 강화되는 2025년부터는 2만5천 유로 이하 전기차 모델도 대거 출시될 예정이다.

    중고 전기차 시장도 가격 인하를 촉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2024년 중반 기준 중고 전기차 평균 가격은 3만3천 달러로, 전년 대비 20% 이상 하락했다. 이는 보급형 모델 접근성을 높이는 긍정적 흐름으로 평가된다.

    정책적 측면에서도 가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프랑스의 ‘사회적 리스 제도’는 월 49~150유로의 가격으로 저소득층의 전기차 접근을 가능케 했고, 이 제도를 통해 수만 가구가 전기차 운전을 시작했다. 다만 최근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강화 움직임은 단기적으로 보급형 모델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IEA는 “가격뿐 아니라 충전 인프라, 주행 거리, 차량 크기 등 다양한 요소가 전기차 보급에 영향을 미친다”면서도, “내연기관 차량과 가격 격차를 줄이는 것이 대중화의 결정적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결국 전기차가 진정한 대세가 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살 수 있는 가격대의 모델이 시장에 충분히 공급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다.

  • “연기보다 위험한 가스, 왜 못 막나?” – 메탄 문제의 정책적 공백

    “연기보다 위험한 가스, 왜 못 막나?” – 메탄 문제의 정책적 공백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2025 글로벌 메탄 추적 보고서’는 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메탄 감축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시급한 과제인지를 다시금 강조하고있다. 보고서는 전 세계 화석연료 부문에서 배출되는 메탄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감축 기술은 존재하지만 실제 실행은 크게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출처: IEA, 2025.05】.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단기 기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다. 동일한 조건에서 20년 동안 메탄의 온난화 영향은 CO₂보다 약 80배 강하며, 기후 시스템을 빠르게 안정화시키려는 국제적 시도에서 우선순위로 꼽힌다. 현재 에너지 부문에서의 메탄 배출량은 연간 1억 2,000만 톤을 넘으며, 그중 상당수는 기술적으로 쉽게 차단 가능한 유출임에도 방치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방치된 유정, 폐광, 폐기된 석탄광산 등에서만도 연간 800만 톤의 메탄이 누출되고 있으며, 이는 개별 국가 기준으로 보면 세계 4위 규모에 해당한다. 더불어 위성 기술의 발달로 대규모 유출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으나, 실제 조치는 매우 제한적이다. 2024년 한 해 동안 위성이 포착한 대규모 메탄 누출 사례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보고서는 전체 메탄 배출량의 70%가 기존 기술로 저감 가능하다고 분석하며, 이 가운데 상당수는 포집한 가스를 재판매하는 방식으로 1년 내 비용 회수가 가능한 사례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이렇게 확보 가능한 가스량은 연간 약 1,000억㎥로, 이는 노르웨이의 연간 천연가스 수출량에 맞먹는 수준이다.

    하지만 실행은 부족하다. 현재 세계 석유·가스 생산량의 80%가 감축 공약 하에 있지만, 이 중 ‘실질적으로 거의 제로 메탄’을 달성한 생산량은 불과 5%에 그친다. 감시 기술은 발전했지만, 규제 이행력과 감시 체계는 여전히 취약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정책 결정자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별 이력 데이터와 감축 시나리오를 오픈소스로 제공하며,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와 실행의 문제”임을 강조했다. IEA 비롤 사무총장은 “메탄 감축은 기후 대응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라며, “이 기회를 계속 놓친다면 더 큰 기후 비용을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메탄 감축은 값비싼 기술이나 미래의 가능성이 아니라, 현재 당장 실현 가능한 가장 빠르고 저렴한 기후 대응 수단 중 하나다. 중요한 것은 기술보다도 ‘정치적 결단과 이행 시스템’임을 이 보고서는 분명하게 보여주는 현실이다.

  • “에너지 전환, 새로운 지정학의 중심축으로” – IRENA의 분석 보고서로 본 국제질서 변화

    “에너지 전환, 새로운 지정학의 중심축으로” – IRENA의 분석 보고서로 본 국제질서 변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2025년 4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전환이 단순한 기술 변화나 기후 대응을 넘어, 국제 안보와 지정학의 구조를 재편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의 에너지 안보가 주로 석유·가스 공급을 중심으로 이해되었다면, 이제는 재생에너지 생산 역량과 관련 소재 공급망의 안정성이 주요한 안보 지표로 대두되고 있다는 것이다【출처: IRENA,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적으로 총 585GW의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이 추가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2050년까지 전력의 90%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1.5도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시나리오가 제시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태양광, 풍력, 배터리 등 핵심 기술의 공급망 안정성과 접근성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

    특히 리튬, 코발트, 니켈, 희토류 등 에너지 전환에 필수적인 광물자원의 채굴과 정제는 특정 국가에 편중되어 있어 공급 불안정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를 유발하고 있다. IRENA는 이러한 편중 구조가 향후 무역 마찰, 수출 제한, 시장 왜곡 등의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예컨대 2030년 예상 리튬 수요는 연 230만 톤에 이르지만, 전 세계 매장량은 5억 6천만 톤으로 알려져 있어, 공급 자체의 부족보다는 공급망의 집중도와 처리 인프라의 제약이 더 큰 문제로 지적된다.

    IRENA는 각국 정부가 과거 화석연료 중심 사고방식을 그대로 재생에너지로 옮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며, “지금 필요한 것은 보다 분산적이고 디지털화된, 상호 연결된 전력 인프라를 염두에 둔 전략적 설계”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탐사 및 생산 인프라에 대한 투자, 특히 아프리카 등 미개발 지역에 대한 접근 확대, 소재 재활용 기술 및 대체 소재 개발을 통한 리스크 완화, 기술 이전과 금융 협력 등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핵심 내용이다.

    한국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다. 한국은 리튬, 니켈, 희토류 등 핵심 원자재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특정 국가에 편중되어 있어 공급망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핵심광물 확보 전략’, ‘배터리 공급망 안정화 로드맵’ 등을 통해 소재 다변화 및 재활용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또한 한국은 ‘국가 에너지전환 로드맵’과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1.6%까지 확대하고, 수소 경제 인프라 구축, 재생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 유치 등 다양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아프리카·남미·호주 등 자원 부국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통해 자원 탐사와 공급망 외교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대응 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북미와 유럽 현지 생산시설 확대는 물론, 원소재 확보를 위한 장기 계약과 합작법인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전략이 단순한 공급 안정화를 넘어, 한국의 산업 생태계 전반의 회복력과 글로벌 입지 강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평가한다.

    IRENA는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국가 간 협력과 투명한 자원 시장 구축, 포용적 거버넌스 모델이 핵심 해법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결국 에너지 전환의 성공 여부는 기술 개발 그 자체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국가가 그 혜택을 공유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를 결정짓는 새로운 글로벌 질서의 시험대가 될 것이다.

  • “커서 더 조용하다” – 미국 에너지 판을 바꾸는 유틸리티 태양광의 힘

    “커서 더 조용하다” – 미국 에너지 판을 바꾸는 유틸리티 태양광의 힘

    미국 에너지 시스템에서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utility-scale solar)이 조용하지만 강력한 변화를 이끌고 있다. 우드맥켄지(Wood Mackenzie) 수석 애널리스트 콜린 스미스(Colin Smith)는 2021년 칼럼을 통해 “태양광은 크지만, 지루할 정도로 조용하게 미국의 전력 지형을 바꾸고 있다”고 평가했다【출처: Greentech Media, 2021】.

    실제 데이터를 보면 그 말이 틀리지 않다. 2011년 1GW였던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누적 설비 용량은 2020년 중반 50GW를 돌파했고, 2023년 말에는 100GW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우드맥켄지의 전망에 따르면 2029년에는 250GW, 2045년에는 1TW(테라와트)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출처: Wood Mackenzie】.

    이러한 성장세는 단순한 전력 생산 기술의 발전을 넘어서, 미국의 탄소중립 에너지 구조 재편의 핵심 축이 되고 있다. 특히 2022년부터는 온쇼어 풍력을 제치고 유틸리티 태양광이 연간 신규 발전 설비에서 1위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2029년에는 태양광이 풍력, 가스, 배터리, 기타 발전원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용량이 신규로 설치될 것으로 예측된다.

    문제는 인프라다. 발전소는 건설 속도를 높이고 있지만, 이를 수용할 전력망(Transmission grid)의 확장이 뒤따르지 못하면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는 각 지역에서 주민 반발(NIMBY)과 허가 지연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수백억 달러에 달하는 민간 자본의 안정적 유입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전력시장 구조 개편이다. 태양광과 재생에너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력 시스템에서는 기존 전력시장 설계로는 수급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시장 디자인과 분산형 에너지 자원의 통합, 마이크로그리드, 저장장치 등의 연계 시스템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주정부, 공공 유틸리티, 대기업은 탄소중립 또는 100% 재생에너지 목표를 앞다퉈 채택하고 있어 유틸리티 태양광은 향후 수십 년간 미국 전력 시스템의 주력 기술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콜린 스미스는 “수요반응, 전기차, 플로우 배터리 같은 기술이 더 ‘멋지게’ 보일 수는 있어도, 유틸리티 태양광이야말로 진짜 판을 바꾸고 있다”며 “조용하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거대하고 지루한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 “수입 의존 탈피, 에너지 자립의 길로” – 조지아의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수입 의존 탈피, 에너지 자립의 길로” – 조지아의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2025년 4월 16일 발표한 신규 보고서에서, 조지아(Georgia) 정부와 협력해 진행한 ‘에너지 전환 평가(Energy Transition Assessment)’를 통해 이 나라의 에너지 안보 및 무역적자 문제를 해결할 주요 해법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제시했다【출처: IRENA, 2025】.

    조지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 남캅카스 지역의 핵심 국가 중 하나다. 인구 약 400만 명의 이 나라는 구소련 붕괴 이후 빠르게 개방 경제 체제로 전환했으며,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에너지 시스템을 구성해왔다. 하지만 현재 자국 에너지 수요의 약 4분의 3을 수입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무역수지 적자와 안보 리스크로 이어지고 있다.

    반면 수력,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풍부한 상황이다. IRENA는 보고서를 통해 수력발전 잠재량은 약 15GW에 달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것은 그중 25% 미만이며, 미활용 상태의 풍력 4GW, 태양광 4.5GW의 발전 잠재력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프란체스코 라 캄에라(Francesco La Camera) IRENA 사무총장은 “수입 의존에서 자립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은 조지아에 있어 충분히 실현 가능한 목표”라며, “이번 보고서는 2030년 기후 및 에너지 목표 달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경제성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단기 및 중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특히 ▲전력망 유연성 제고 ▲금융 접근성 강화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 참여 확대 ▲기술인력 양성 및 가치사슬 개발 ▲공정한 전환(just transition) 체계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또한 교통, 난방·냉방 등 최종에너지 사용 부문에 대한 탈탄소화 유인을 강화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조지아의 차기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3.0) 수립에도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국가 에너지 및 기후 계획과 연계된 실행 계획 수립에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IRENA는 “재생에너지 기반 전환 전략은 단순한 전력 공급 차원을 넘어, 경제 회복력 강화와 무역구조 개선, 사회 통합까지 포괄하는 복합 정책으로 다뤄져야 한다”며, 조지아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이번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이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What Alberto Savoia Can Teach You About PEAC

    What Alberto Savoia Can Teach You About PEAC

    Risus ultricies tristique nulla aliquet enim tortor at auctor urna. Proin sagittis nisl rhoncus mattis rhoncus. Venenatis lectus magna fringilla urna. Sed risus pretium quam vulputate dignissim suspendisse. Ut tortor pretium viverra suspendisse potenti. Consequat id porta nibh venenatis cras sed. Ac turpis egestas maecenas pharetra convallis posuere morbi leo urna. Laoreet sit amet cursus sit amet dictum. Bibendum arcu vitae elementum curabitur vitae nunc sed velit. Sed risus pretium quam vulputate dignissim suspendisse in est ante. Erat velit scelerisque in dictum non consectetur a erat. Nisi quis eleifend quam adipiscing vitae proin sagittis nisl rhoncus. Non curabitur gravida arcu ac tortor dignissim convallis. Eget velit aliquet sagittis id consectetur purus ut faucibus. Sed blandit libero volutpat sed cras ornare. At risus viverra adipiscing at in. Lectus mauris ultrices eros in cursus turpis massa. Quis imperdiet massa tincidunt nunc pulvinar. Id aliquet risus feugiat in ante metus dictum. Odio pellentesque diam volutpat commodo.
    Aliquam ut porttitor leo a diam sollicitudin tempor. Ultricies integer quis auctor elit sed vulputate. Morbi non arcu risus quis varius quam quisque id dia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ut aliquam. Platea dictumst quisque sagittis purus sit amet volutpat consequat. Quis enim lobortis scelerisque fermentum dui faucibus in ornare. Nunc consequat interdum varius sit amet mattis vulputate enim. Elit eget gravida cum sociis natoque penatibus. Non curabitur gravida arcu ac tortor dignissim convallis aenean et. Sed risus ultricies tristique nulla aliquet. Molestie nunc non blandit massa enim nec. Ullamcorper malesuada proin libero nunc consequat interdum varius. Cursus vitae congue mauris rhoncus aenean. Lectus arcu bibendum at varius vel pharetra vel turpis nunc. Mauris augue neque gravida in fermentum. Urna id volutpat lacus laoreet non curabitur.

  • Have you seen this crowded Market in the Boats?

    Have you seen this crowded Market in the Boats?

    Urna nec tincidunt praesent semper.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ut aliquam purus sit amet luctus. Massa placerat duis ultricies lacus. Turpis massa tincidunt dui ut ornare. Diam vel quam elementum pulvinar etiam non quam. Quis imperdiet massa tincidunt nunc pulvinar. In fermentum posuere urna nec tincidunt praesent. Ornare lectus sit amet est placerat in egestas. Eu non diam phasellus vestibulum lorem sed risus ultricies tristique. Amet nisl suscipit adipiscing bibendum est ultricies integer. Augue lacus viverra vitae congue eu consequat ac felis. A diam sollicitudin tempor id eu. Diam donec adipiscing tristique risus nec. Iaculis at erat pellentesque adipiscing. Nullam vehicula ipsum a arcu cursus vitae congue mauris. Eu scelerisque felis imperdiet proin fermentum leo vel orci. Id diam maecenas ultricies mi eget mauris pharetra et. Placerat duis ultricies lacus sed turpis tincidunt id. Aliquam sem et tortor consequat id porta nibh venenatis cras.
    Leo integer malesuada nunc vel risus commodo viverra. Faucibus interdum posuere lorem ipsum dolor sit amet. Adipiscing commodo elit at imperdiet dui accumsan sit amet nulla. Tincidunt ornare massa eget egestas. Vulputate eu scelerisque felis imperdiet proin fermentum leo vel. Vitae et leo duis ut diam quam nulla porttitor. Lacus luctus accumsan tortor posuere ac ut. Et sollicitudin ac orci phasellus. Faucibus turpis in eu mi bibendum neque. Nibh mauris cursus mattis molestie a iaculis. Quis hendrerit dolor magna eget est lorem ipsum dolor sit. Id diam vel quam elementum pulvinar. Sit amet aliquam id diam maecenas ultricies mi eget. Pretium aenean pharetra magna ac placerat vestibulum lectus.

제호: 더푸른미래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경기,아52808 / 우)10896 / 주소:경기도 파주시 경의로 1224,3층 321호(와동동) / 발행/편집인 최창호 / 전화:070-4792-7720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현주 / 등록-발행일:2015년 01월 19일 / 모든 콘텐츠 저작권은 저작권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제 및 복사 재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5 더푸른미래. All rights reserved.